[SSD] Western Digital BLACK SN750 250GB & 1TB




웨스턴 디지털(Western Digital)의 M.2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2019년 3월에 출시되었으며, 같은 해 4월에 생산되어 도우정보에서 유통한 것을 여름에 구입했었다. 구매한 가격은 잘 모르겠지만 각각 9만 원대·28만 원 정도 줬던 거 같다.
파생형으로 방열판이 포함되는 것이 있으며, WD/샌디스크 내부 SSD 및 OEM 납품용 PC SN730, 하위 제품군은 DRAM이 없고 대역폭도 절반인 Blue SN500이다. 그 외에 외장 SSD(Extreme PRO Portable/E80)에 탑재되는 SN750E가 있다.




WD_BLACK SN750 NVMe SSD 성능으로 레벨 업 |
||
제품명 | WDS250G3X0C-00SJG0 & WDS100T3X0C-00SJG0 | |
크기 | M.2 (2280) | |
무게 | 7.5g | |
작동 온도 | 0℃~70℃ (80℃ 이상은 스로틀링) | |
보관 온도 | -55℃~85℃ | |
소비 전력 | 0.0025W~1.4W (최대 9.24W, 250GB 제품의 경우 평균 소비 전력 1.1W) | |
인터페이스 | PCI Express 3.0 x4 | NVM Express 1.3 | |
NAND | 샌디스크 BiCS3/64단 3D TLC 128GB 2개 (250GB) 샌디스크 BiCS3/64단 3D TLC 512GB 2개 (1TB) |
|
컨트롤러 | 샌디스크 20-82-007011 | |
DRAM | DDR4-2400 512MB (250GB) DDR4-2400 1GB (1TB) |
|
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https://support-ko.wd.com/app/products/downloads/softwaredownloads |
|
용량 | 250GB & 1TB | 500GB·2TB·4TB |
보증 기간 | 5년 | |
TBW | 200 (250GB) 600 (1TB) |
|
MTTF | 175만 시간 | |
읽기/쓰기 속도 | 3,100MB/s | 1,600MB/s (250GB) 3,470MB/s | 3,000MB/s (1TB) |
|
4K 읽기/쓰기 속도 | 220K IOPS | 180K IOPS (250GB) 515K IOPS | 560K IOPS (1TB) |
|
원산지 | 말레이시아 | |
둘러보기 | 【제품 소개 (인터넷 아카이브)】 https://web.archive.org/web/20190607030605/https://www.westerndigital.com/ko-kr/products/internal-drives/wd-black-sn750-nvme-ssd 【데이터 시트 (인터넷 아카이브)】 https://web.archive.org/web/20200415022533mp_/https://documents.westerndigital.com/content/dam/doc-library/en_us/assets/public/western-digital/product/internal-drives/wd-black-ssd/product-brief-wd-black-sn750-nvme-ssd.pdf 【데이터 시트】 https://documents.westerndigital.com/content/dam/doc-library/ko_kr/assets/public/western-digital/product/internal-drives/wd-black-ssd/product-brief-wd-black-sn750-nvme-ssd.pdf |
* 250GB 제품은 하위 용량대인만큼 다른 용량대보다 성능이 낮은 편이며, 1TB 제품이 최고의 성능을 보인다.
* 4TB 제품은 출시 당시에는 없었다가 2021년에 추가되었다. 대용량 구현 때문에 NAND가 양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TB 기준 | BLACK(3D) | SN750 |
출시 시기 | 2018년 5월 | 2019년 3월 |
용량 | 250GB~1TB | 250GB~2TB (이후 4TB까지) |
읽기/쓰기 속도 | 3,400MB/s | 2,800MB/s | 3,470MB/s | 3,000MB/s |
4K 읽기/쓰기 속도 | 500K IOPS | 400K IOPS | 515K IOPS | 560K IOPS |
* BLACK(3D)의 후속 제품군으로 3세대로 취급된다. NAND 공정 및 컨트롤러에 큰 변화는 없지만, 그 대신 64단 NAND 수율이 안정화되고 펌웨어 또한 개선되면서 성능과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2018년 대비 가격이 저렴해졌으며, 방열판이 장착된 제품군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 이후에 나온 SN750 SE는 이름만 들으면 리프레시스럽지만 다르다. 96단 NAND에 PCIe 4.0 x4가 사용되지만 DRAM이 빠졌다. 그래서 SN750의 실질적 후속 제품군은 SN850이다.
벤치마크 환경 | |
메인보드 | GIGABYTE X570 AORUS MASTER (바이오스 버전: F33j) |
CPU | AMD Ryzen 9 3900X (Matisse) |
RAM | Micron Crucial PC4-25600 16GB*2 (32GB) |
운영체제 | Microsoft Windows 10 Pro 20H2 x64 (빌드: 19042.985) |
드라이버 | AMD Chipset Drivers 2.13.27.501 |
* 250GB 제품의 경우 메인보드의 1번째 M.2 슬롯, 1TB 제품은 2번째 M.2 슬롯에 장착하였다. 두 슬롯 모두 CPU 직결이며, 메인보드에서 제공되는 기본 방열판을 사용하였다. 1번째 PCIe x16 슬롯에 그래픽 카드가 장착된 상태여서 2번째 M.2 슬롯의 경우 그래픽 카드에 의한 공기 흐름 방해가 있다.
* 최근에 돌린 벤치마크 자료(2021년 5월)가 아니므로 실제 결괏값이 이보다 높거나 낮을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다음 프로그램들을 가지고 벤치마크를 진행하였다.
* CrystalDiskInfo 8.12.0
* Western Digital Dashboard 3.2.2.9
* CrystalDiskMark 8.0.1
* ATTO Disk Benchmark 4.010.f1
* Anvil's Storage Utilities 1.1
* AS SSD Benchmark 2.0.7316.34247
* GM HDD SCAN ver2.0
* 나래온 더티 테스트 6.0.4




WD Dashboard(구 SSD Dashboard)에서는 게임 모드라는 기능을 켜면 절전 기능을 꺼서 게임 등의 환경에서의 빠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각각 2.6%(6.05GB)·2.4%(22.35GB) 정도 쓰면 끝날 정도로 SLC 캐시 범위는 짧지만 급격한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더티 테스트에서 온도는 250GB와 1TB가 각각 47도랑 71도를 찍었었다. 1TB가 설치된 위치가 그렇다 보니 높게 나오긴 하지만, 스로틀링이 걸릴 정도는 아니었다. 유휴 상태의 온도는 41도·47도로 평균 작업 시 45도·63도 정도였다.
1TB 제품 살 때 줬던 28만 원, 그걸로는 이제 SN850X 2TB 자체 방열판 포함으로 구입해 볼 수 있다. 과거에 2TB를 샀었다면 그건 오늘날 4TB 가격대에 대응된다.. 물론 그 사이에 전반적으로 늘어난 물가에 대해서는 굳이 이야기하지 않겠다;;
광고(필드 테스트) 없이 직접 사서 알아보는 데에 한계가 있는 건 당연한지라, '중고'로 충당해서 리뷰 거리를 계속해서 알아오긴 했다만…… 4년 동안 저장 장치 가지고 알아보는 게시글의 소재가 떨어지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