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의 2.5인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2013년 7월에 출시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즈음에 생산된 것으로 추측되는 것을 알아보았다.
데스크톱용·노트북용으로 나뉘는 업그레이드 키트로 구입하면 그에 맞는 구성품이 추가로 동봉된다. SATA→USB 컨버터를 비롯해 데스크톱용이라면 SATA 데이터 케이블이랑 3.5인치 브래킷 및 나사, 노트북용은 9.5인치 마운팅 스페이서가 제공된다. 850 EVO 해외판을 마지막으로 업그레이드 키트 제공이 중단되었다.
SSD 840(노멀)의 후속 제품군이다. 상위 제품군으로는 MLC NAND를 사용하는 840 PRO가 있다.


Samsung SSD 840 EVO 120GB 내 PC에서 만나는 Super Speed, 삼성 SSD |
||
제품명 | MZ-7TE120 | MZ7TE120HMGR-2BK00 | |
크기 | 2.5인치, 6.8mm | |
무게 | 53g (최대) | |
작동 온도 | 0℃~70℃ | |
보관 온도 | -55℃~95℃ | |
소비 전력 | 0.045W~0.24W (최대 4.3W) | |
인터페이스 | SATA Revision 3.1 6Gb/s | |
NAND | 삼성 19nm 2D TLC 64GB 2개 (K9CHGY8S5M-CCK0) | |
컨트롤러 | 삼성 MEX (S4LN045X01-8030) | |
DRAM | 삼성 LPDDR2-1066 256MB (K4P2G324ED-FGC2) | |
소프트웨어 | 【Samsung Magician, 그 외 소프트웨어】 https://www.samsung.com/semiconductor/minisite/ssd/download/tools/ |
|
용량 | 120GB | 250GB·500GB·750GB·1TB |
보증 기간 | 3년 | |
MTBF | 150만 시간 | |
읽기/쓰기 속도 | 540MB/s | 410MB/s | |
4K 읽기/쓰기 속도 | 94K IOPS | 35K IOPS | |
원산지 | 중국 | |
둘러보기 | 【제품 소개 (인터넷 아카이브)】 https://web.archive.org/web/20140725103514/http://www.samsung.com/sec/consumer/it/ssd-ex-hdd/ssd/MZ-7TE1T0B/KR 【제품 소개 (인터넷 아카이브, 영어)】 https://web.archive.org/web/20140906004722/http://www.samsung.com/us/computer/memory-storage/MZ-7TE120BW 【데이터 시트】 https://www.samsung.com/us/system/consumer/product/mz/7t/e1/mz7te1t0bw/Sam_1303_SSD-840-EVO-Spec-Sheet_v9.pdf |
* 걸쇠를 부수지 않는다면 라벨을 드러내지 않고도 SSD를 분해할 수 있었던 840 노멀과는 달리, 이번에는 라벨 뒤에 나사를 숨겨놓으면서 분해를 시도하면 보증이 날아가게 된다.
* 하위 용량대인지라 상위 용량대(쓰기 520MB/s | 4K 읽기/쓰기 98K/90K IOPS)에 비하면 성능이 떨어진다. 최고 성능을 노리려면 500GB 이상의 용량대를 선택해야 한다.
* 추가 구성품 이외에도 스티커(Samsung SSD activated)가 동봉되는데, 다음 세대의 하위 제품군 850 EVO부터는 빠졌다.
* 검은색 하우징을 쓰던 기존 제품군들과는 다르게 회색이 들어간 것이 눈에 띈다. 이후 제품군을 개편하면서 QVO에서 다시 볼 수 있게 된다.
삼성 840 EVO SSD 성능 저하 문제, 그 실체를 파헤쳐 보자 | 케이벤치 기획특집
TLC 낸드 플래시 SSD의 신뢰도를 대폭 깎아내린 삼성 840 EVO SSD 지난 9월 말, TLC (Triple Level Cell)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SSD인 삼성전자의 840 EVO SSD에서 심각한 읽기 성능 저하 문제가 발생
kbench.com
* 2014년 8월에 전압 보정 오작동으로 인한 읽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견되면서 840 노멀과 함께 이에 대응하는 펌웨어 업데이트 및 성능 복구 소프트웨어(Performance Restoration)가 배포되었다. DiskFresh 같은 재기록(셀 리프레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동작 원리상 SSD 수명이 단축된다..
120GB~128GB 기준 | 840 EVO | 840 | 840 PRO |
출시 시기 | 2013년 7월 | 2012년 10월 | 2012년 9월 |
NAND | 19nm 2D TLC | 21nm 2D TLC | 21nm 2D MLC |
컨트롤러 | MEX | MDX | |
DRAM | LPDDR2-1066 | LPDDR2-800 | |
용량 | 120GB~1TB | 120GB~500GB | 128GB~512GB |
읽기/쓰기 속도 | 540MB/s | 410MB/s | 530MB/s | 130MB/s | 530MB/s | 390MB/s |
4K 읽기/쓰기 속도 | 94K IOPS | 35K IOPS | 86K IOPS | 32K IOPS | 97K IOPS | 90K IOPS |
소비 전력 | 0.045W~0.24W | 0.046W~0.279W | 0.054W~0.349W |
최대 소비 전력 | 4.3W | 8.5W | 7.5W |
보증 기간 | 3년 | 5년 |
* NAND 공정 및 컨트롤러가 개선되었고, TurboWrite(SLC 캐싱) 기능이 추가되면서 체감 성능이 높아졌다.
삼성전자, 세계 최초 1테라바이트 미니 SSD 글로벌 런칭
삼성전자는 12월 9일 세계 최초로 고성능 1테라바이트(TB) 미니(mSATA) SSD(Solid State Drive)의 글로벌 런칭을 시작합니다. 이로써 소비자들은 기존에 사용하던 최신 노트북에 ‘840 EVO 미니 SSD’를 추
news.samsung.com
* mSATA용으로 출시된 840 EVO 미니의 경우 2D가 아닌 16단 3D TLC가 사용되었다. V-NAND 1세대는 24단부터 시작하는데 0세대이려나? 그건 그렇고 19nm~16nm를 10nm급이라고 올려치는 자신감이 대단하다.
* SSD 840(노멀) 120GB에 대해서 다뤄본 적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게시글을 참조하자.
[SSD] Samsung SSD 840 120GB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의 2.5인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2012년 10월에 출시되었으며, 같은 시기에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TLC NAND를 사용하는 제품이다. 상위 제품군으로는 MLC NAND를 사용
rhmvy.tistory.com
벤치마크 환경 | |
메인보드 | GIGABYTE X570 AORUS MASTER (바이오스 버전: F37h) |
CPU | AMD Ryzen 9 3900X (Matisse) |
RAM | Micron Crucial PC4-25600 16GB*2 (32GB) |
운영체제 | Microsoft Windows 10 Pro 22H2 x64 (빌드: 19045.3996) |
드라이버 | AMD Chipset Drivers 5.08.02.027 |
펌웨어 EXT0BB0Q 기준으로 다음 프로그램들을 가지고 벤치마크를 진행하였다.
* CrystalDiskInfo 9.2.2
* Samsung Magician 8.0.1
* CrystalDiskMark 8.0.4
* ATTO Disk Benchmark 4.010.f1
* HD Tune 2.55
* HD Tune Pro 5.75
* Anvil's Storage Utilities 1.1
* AS SSD Benchmark 2.0.7316.34247
* GM HDD SCAN ver2.0
* 나래온 더티 테스트 6.0.4














3.8%(4.24GB) 정도를 쓰면 SLC 캐싱이 끝난다.
온도는 각종 작업 상황에서 36~40도, HDD SCAN으로 32~33도, 더티 테스트에서 최대 43도로 발열이 심하지 않았다.